해당 차량은 닛산 서비스센터를 통해 프론트 브레이크패드 교체가 필요하다고 진단을 받은 후, 교체를 위해 입고되었습니다. 아울러 브레이크패드를 교환하면서 교체주기가 한참을 지난 브레이크액 교환도 함께 진행하게 됩니다.
브레이크패드의 교환주기는 어떻게 될까?
실제 차량 유지보수에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시는 오너들도 브레이크 패드 교체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시는데요, 특히 차량의 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더더
cartailor.tistory.com
준비한 하겐 세라믹 브레이크패드로, 애초에 교체가 필요하다고 진단을 받았던 프론트만 교체를 진행합니다. 통상 전륜의 경우 제동시 뒷바퀴의 끌림을 막기 위해 브레이크 압력이 후륜보다 강해게 설계되어 있고, 제동시 차량 무게가 후륜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쏠리다 후륜패드에 비해 보다 빨리 마모를 보이는게 일반적입니다. 하겐 세라믹 패드의 경우 부드럽지만 강력한 제동감, 잡소리 없는 성능, 그리고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은 분진발생으로 많은 분들께서 만족하고 계십니다. 국내 제품이다 보니 믿을 수 있고, 가격도 착할 뿐더러 디스크 공격성도 적어 디스크의 이상마모나 조기마모를 초례할 가능성도 낮아 집니다.
하겐은 우리나라 브레이크 패드 시장 점유율 1위 상신브레이크 주식회사의 수입차 전용 라인으로 출시한 브랜드 입니다. 현대, 기아 등 국내 완성차 업체의 순정 파츠로 납품하는 업체 중 하나이기도 하고요. 모든 제품은 국내에서 제조하기 때문에 품질 또한 믿을 수 있습니다. 사실 해외 직구를 많이 하시는데, 센터에서 파는 부품을 쓰지 않을 바에는 검증된 제조사의 국산 제품을 쓰는 것이 현명할 수도 있습니다. 해외직구나 병행수입 등으로 우리가 순정파츠로 알고 구입하는 부품들, 분명 메이커의 로고가 찍혀있지만 사실 알고 보면 저가의 중국산 모조품이거나 출처를 알 수 없는 이상한 제품도 꾀 있거든요. 물론 그렇지 않은 부품이 더 많겠지만요.
브레이크액 교체도 함께 진행되기에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를 분리해 전원을 차단한 후,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유는 잘 모르겠으나 해단 차량의 정비지침서를 보면, 브레이크액 교환 시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를 분리하여 전원을 차단하거나 ABS모듈의 잭을 분리 후 작업을 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전원차단이 일반적인 브레이크액 교환 절차는 아니지만 그냥 시키는 대로 합니다.
잭포인트에 고무를 댄 후, 차량을 리프팅해 휠을 탈거합니다.
좌측은 제거된 기존 브레이크패드, 우측은 신품 패드의 모습입니다. 얼핏봐도 인사이드 패드가 많이 닳아있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눈에 보이는 아웃사이드 쪽 패드만 보고 교환여부를 판단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신품 패드를 정확하게 장착 후, 캘리퍼 어퍼 커버를 제 자리에 위치시킵니다.
가이드 로드 장착 전, 고무재질에 무해한 합성 내열 그리스를 도포해줍니다.
캘리퍼 가이드 로드를 토크렌치를 이용해 규정토크로 체결합니다. 운전석과 동승석 모두 동일하게 작업해주고요.
준비한 브레이크액은 노스씨 브레이크 플루이드 DOT4입니다.

약 10여년 전부터 DOT4 규격이 일반적인 요구 사양이며, 간혹 DOT4에 플러스나 HP(High Performance : 고성능)등과 같이 부가적인 기호가 붙어 있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DOT(Department of Transportation : 미국 교통부) 에서 부여하고 있는 정식 규격은 아니며, 기존 DOT4 규격의 하한 한계점을 상회하는 우수한 성상을 강조하기 위해 메이커들이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마케팅 용어 정도가 되겠는데요, 기존 DOT4 규격의 끓는점(DRY기준)의 하한한계값이 섭씨 230도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면, 플러스나 HP 같은 명명이 붙는 상위 제품의 경우 통상 섭씨 250도~300도 까지의 성능을 보여준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모두 샘플링한 모습으로, 좌측은 기존 브레이크액, 우측은 신유의 모습입니다.
교체 작업이 끝났으면 토크렌치를 이용해 규정토크로 휠을 체결한 후, 테스트 드라이빙을 진행합니다.
시운전을 통해 제동 상태 등을 체크 후, 다시 차량을 입고시켜 브레이크액 레벨 및 작업과 관련된 폴트 체크 후, 출고합니다. 모두 정상입니다.
정확하고 꼼꼼한 유지보수 작업과 함께 언제나 부드럽고 높은 효율을 발휘하는 자동차로 유지해 보세요!
'☆ 내차를 건강하게 > 정확한 소모품 교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츠 E220d 브레이크패드, 브레이크액교환 - HAGEN 세라믹 패드 (0) | 2022.07.24 |
---|---|
아우디 A7 3.0 TFSI 슈퍼차져오일보충 - 과급기의 성능을 한껏 누려보세요! (0) | 2022.07.14 |
아우디 A6 3.0TFSI(C6) 슈퍼차져오일교환 - 교환이 아닌 보충이 대부분입니다 (0) | 2022.06.24 |
아우디 A6(C6) 3.0TFSI 프론트 디스크, 브레이크패드교환 - BREMBO, HAGEN (0) | 2022.05.20 |
아우디 A6 3.0 TFSI 슈퍼차져오일 보충 - 10만km가 넘었다면 오일이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0) | 2022.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