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르고 꼼꼼하게

Premium Automobile Maintenance and Tuning Service

☆ 나를 위한 맞춤 튜닝/합법 인증 LED 전조등

브라비오LED, 정확한 설치와 라이트 조사각 조절 모두 함께 누려보세요!

cartailor 2022. 4. 21. 05:36
반응형

올뉴말리부 2.0T 터보 차량입니다. 전작에 비해 날렵하고 세련된 외관이 특징인데요, 아무래도 할로겐 사양으로 출고가 되다 보니 야간 시야도 어둡고 차량의 디자인과도 어울리지 않는 누런 불빛을 발산하고 있습니다.

 

흐리고 침침한 야간 시야 개선과 더불어 라이트 색온도를 LED로 바꿔 드레스업효과를 주기 위해 합법 인증 LED 제품 튜닝을 진행합니다.

 

 

 

해당 차량은 2등식 바이펑션 프로젝션 헤드램프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광원에서 셔터막 작동 유무에 따라 상/하향등을 구분짓는 방식입니다. 즉 하나의 광원으로 상/하향등을 모두 구연하는 건데요, 그렇기 때문에 상향등 때 별도의 할로겐 전구가 점등되는 일반적인 4등식 차량과 달리 상향등 까지 LED를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차량을 라이트 테스터기에 정렬 후, 칸델라(cd) 및 조사각 수치를 확인합니다. 좌측은 운전석, 우측은 조수석입니다. 운전석은 좌하향으로 틀어져 있으며, 조수석은 우하향으로 어긋나 있습니다. 다행히 큰 폭으로 틀어진 건 아니며, 칸델라 수치는 양쪽 모두 양호한 편에 속합니다. 칸델라(cd)는 밝기를 측정하는 국제 단위 규격입니다.

 

 

 

브라비오 터미네이터 SP 바이펑션입니다. 국토부 인증을 받아 검사 통과 가능한 합법 LED 제품이며, 제품 보증 기간 2년을 제공합니다. 현 시점에서는 SP PLUS로 통합되었습니다(SP PLUS = 더뉴트랙스, 스팅어 차종 장착을 위해 만들어진 전용 제품으로, SP와 SP SPLUS의 차이는 제품 높이입니다, 기능 상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모든 차종에 장착 가능한 게 아니며 각 제품들 마다 지원 차종이 조금씩 상이합니다. 하단 포스팅에서 장착 가능한 차종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스트캡 탈거 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할로겐 전구를 돌려 제거합니다. 작업 공간은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브라비오LED를 장착합니다. 브라켓 노치가 모두 딸깍하고 걸리도록 한 후, 배선은 6시 방향으로 위치시켜 주고요.

 

 

 

작동 테스트 및 라이트 조사각 조절을 진행합니다. 선행 및 맞은 편 차량 눈부심 방지와 더불어 제조사가 의도하는 밝기 구현을 위해 꼭 진행하는 과정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매장에 구비된 라이트 테스터기는 매년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정도 검사를 받아 정확한 광도 측정 및 조사각 조절이 가능하며, 할로겐, HID, LED 까지 모든 광원을 지원하는 테스터기입니다.

 

 

 

[운전석] 좌측은 할로겐, 우측은 브라비오LED 장착 및 조사각 조절을 마친 후 확인한 수치입니다. 약 2.56배 상승된 칸델라(cd) 수치를 보여줍니다.

 

 

 

[조수석] 좌측은 할로겐, 우측은 브라비오LED 장착 및 조사각 조절을 마친 후 확인한 수치입니다. 약 2.56배 상승된 칸델라(cd) 수치를 보여줍니다. 약 3배 이상 상승된 밝기 수치를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컨디션이 괜찮은 할로겐의 경우, 통상 4~6만cd 정도를 보여주는 데, 브라비오LED는 그 보다 훨씬 상회하는 수치를 만들어줍니다.

 

 

 

차량등록증에 검사 통과를 위한 사전 인증 스티커 부착 및 전산등록을 진행합니다. 해당 튜닝을 위한 별도 구조변경이나 서류 검사는 필요없으며, 국토부 인증을 받은 100% 합법적인 튜닝이니, 안심하고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좌측은 할로겐, 우측은 LED의 모습입니다. 야간 시야 개선은 물론이고, 라이트 색온도 변화 하나만으로 차량 드레스업 효과가 확실합니다. 이제서야 차량의 날렵한 전면 디자인과 어울리는 눈을 갖게 된 것 같습니다.

 

 

 

합법 인증 제품인 브라비오LED, 라이트 조사각 조절까지 함께 진행하는 브라비오 우수 대리점, 피터웍스에서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